피도 눈물도 없는 실험
페이지 정보
본문

댓글목록
00님의 댓글
00 작성일
쪽바리 놈들 참 엉뚱한 거 좋아하고 쓸데없는 실험하는 거 좋아한다.
한국애들과는 달라.
그런데 엉뚱하고 호기심 많고 질문 많고 쓸데없는 실험하는 애들이 세상을 변화시키더라.
아인슈타인,에디슨, 잡스, 카네기등등 어려서부터 학교에서 낙제생이였지만 호기심많고 쓸데없는 실험하고...
우리나라 애들은 "선생님, 제 생각은 다릅니다"라고 질문하면 선생이 "그런 쓸데없는 생각하지말고 그냥 알려주는 거나 외워"이러는데..
혹은 "이렇게 해도 답이 될 수 있지 않나요?"라고 따지면 "그런 건 시험에 안 나오니까 알려주는 거나 외워".
절대 노벨상은 받을 수가 없죠.
응용력,창의력 자체를 원천적으로 봉쇄하고 쳐 외우라는 선생이 대부분인데..
교육에 있어서 배우는 자보다 가르치는 자가 훨씬 중요합니다.
그건 운동선수들도 마찬가지에요.
축구감독,야구감독이 누구냐에 따라 선수,팀의 운명이 바뀌죠.
그러나 우리나라는 글렀어요.
가르치는 자나 배우는 자나 질문,실험,호기심을 제한하는 교육때문에 망국의 길로 가는 거죠.
손주은이 말했습니다. 이제는 왠만한 일은 기계가 하고 사람이 하는 일은 창의력뿐이라고...
쪽바리 놈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저런 쓸데없어 보이는 실험이 27개의 노벨상(아시아최다)의 원천이라고 봅니다.
1234님의 댓글
1234 작성일
어디 교과서에서 보는 내용 읊고 있냐 ㅋㅋㅋ
우리나라 위치를 자각해야지. 우리나라는 솔직히 말해서 세계를 리딩하는 위치는 아녀.
지금까지 이뤄져온 교육과 정책때문에 이만큼 우리나라가 잘살게됬다는 생각은 안하지.
창의적인 교육은 경제성장의 saturation 이 된 다음부터 중요하게 되는거지 지금이 그런거고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성장하고 있는 젊은 인재들은 충분히 창의적이고 세계적인 수준임.
그리고 아인슈타인 에디슨 잡스 등등이 학교에서 낙제생이라는건 어디서본거냐 ㅋㅋ
주장을 전개할때 논거 중 하나가 거짓이면 그 주장자체의 신뢰가 흔들린다는 점은 인지하기를 바람
ㅇㅇ님의 댓글
ㅇㅇ 작성일호기심천국에서 방귀가 가스감지기에 감지되는지 실험하는거 못봄?
ㅇㅇ님의 댓글
ㅇㅇ 작성일응. 봄. 근데 호기심천국 자체가 일본 트리비아의 샘 포맷 그대로 따라서 만든거야.